본문 바로가기

조직행동2

조직행동론 (2) - 동기부여론(매슬로우, 허쯔버그, 맥그리거, 아담스, 브룸 등) 지난 번에 이어서! 조직행동론 (1) - 조직몰입(정서적, 연속적, 규범적 몰입) 조직행동론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0.배경 조직행동 초기 이론에서는 베버와 테일러의 관점을 바탕으로 개인이 그닥 관심을 받지 못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메이요의 호손 실험을 시작 fragranceofsunset.tistory.com 3. 동기부여론 (Motivation Theories) (6) 매슬로우의 욕구 계층 이론 (Maslow's Hierarchy of Needs) 매슬로우의 욕구 계층 이론은 다양한 욕구 수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개인이 행동한다라고 주장합니다. 인간의 욕구를 다섯 가지 수준으로 나누어 설명하며, 생리적, 안전, 사회적, 존중, 자아실현 욕구를 순차적으로 만족시키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개인은 낮은.. 2024. 2. 8.
조직행동론 (1) - 조직몰입(정서적, 연속적, 규범적 몰입) 조직행동론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0.배경 조직행동 초기 이론에서는 베버와 테일러의 관점을 바탕으로 개인이 그닥 관심을 받지 못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메이요의 호손 실험을 시작으로, 조직을 이루는 구성원들에게 초점이 맞춰졌고,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결국 조직의 성공과 연결된다는 의견이 대두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하여 조직행동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고, 조직행동론은 개인의 다양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습니다. 최근에는 특히 개인의 인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직문화나 윤리적 행동 등의 과거에 주목받지 않았던 이슈들도 새로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다만 개인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사적인 심리 요소들을 확실히 측정하거나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다소 어렵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1.. 2024. 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