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직행동론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0.배경
조직행동 초기 이론에서는 베버와 테일러의 관점을 바탕으로 개인이 그닥 관심을 받지 못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메이요의 호손 실험을 시작으로, 조직을 이루는 구성원들에게 초점이 맞춰졌고,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결국 조직의 성공과 연결된다는 의견이 대두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하여 조직행동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고, 조직행동론은 개인의 다양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습니다.
최근에는 특히 개인의 인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직문화나 윤리적 행동 등의 과거에 주목받지 않았던 이슈들도 새로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다만 개인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사적인 심리 요소들을 확실히 측정하거나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다소 어렵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1. 조직몰입 (Organizational Commitment), (3, 메이어와 앨런의 분류)
- 정서적 몰입 (Affective Commitment)
- 정서적 몰입은 개인이 조직에 대한 감정적인 애착을 나타냅니다. 이는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과 애정을 의미하며, 개인이 조직의 가치와 목표를 공유하고 지지하는 것을 반영합니다.
- 정서적으로 몰입한 개인은 조직원 간의 상호작용 및 조직 문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조직의 성과에 대한 공동의 책임을 느낍니다. 이러한 애착은 개인이 조직에 대한 충성과 헌신을 보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ex. 역시 우리 회사 제품인걸~
- 지속적 몰입 (Continuance Commitment)
- 지속적 몰입은 개인이 조직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개인이 조직에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조직에 대한 투자 비용을 고려하여 조직에 머무르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지속적으로 몰입한 개인은 조직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조직을 떠날 경우에 발생하는 비용을 고려하여 조직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러한 몰입은 개인이 조직에 대한 보편적인 효용을 고려하고, 조직을 떠날 경우의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ex. 아 퇴사하고 싶긴 한데 나가면 입에 풀칠이나 하겠나. 버텨서 퇴직금이나 받자..
- 규범적 몰입 (Normative Commitment)
- 규범적 몰입은 개인이 조직의 규범과 가치를 수용함에 따른 몰입상태를 나타냅니다. 개인이 조직의 정책과 규칙을 준수하고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규범적으로 몰입한 개인은 조직의 문화를 수용하고 존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또한, 개인이 조직에 대한 책임, 사명과 의무를 인식하고, 조직의 가치 체계에 동의하는 것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몰입은 조직 내에서 윤리적인 행동과 책임감 있는 리더십을 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ex. 후 그래도 책임감 때문에 버틴다 내가..
감사합니다!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의 시간적 가치 / 유효이자율 (2) | 2024.02.08 |
---|---|
조직행동론 (2) - 동기부여론(매슬로우, 허쯔버그, 맥그리거, 아담스, 브룸 등) (0) | 2024.02.08 |
한국은행 통계조사보조원 하는일 / 꿀팁 / 난이도 (1) | 2024.02.07 |
['24 1월 연준 FOMC 회의] 정리/성명서 분석 및 3월 금리 예측 (1) | 2024.02.06 |
LG에너지솔루션 LG엔솔 기업분석/ 이차전지 업계 산업분석 (1) | 2024.02.05 |
댓글